연노랑눈썹솔새는 동정 가능할까? <2부> 외형으로 동정하기

 

번식이 끝난 후 깃갈이를 마친 가을철 새깃 상태에서 노랑눈썹솔새 복합군은 서로 다른 깃차림을 보여서 외형으로 동정이 가능하다. 깃이 바래고 마모된 봄철 낡은깃 상태에서도 전형적이며 극단적인 특징을 보여주는 개체들은 외형으로 어느 정도 동정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간적인 특징들을 보여주는 개체들은 어떨까? 연노랑눈썹솔새 느낌이 나지만 부리가 조금 밝다거나 둘째날개 기부의 흑갈색 반점이 크지 않다거나 하는 개체들은? 정말 이들의 동정은 포기해야 하는 걸까?

 

1부에서 소리(song과 call)로 이들을 동정하는 법을 살펴봤다면, 이번 글에서는 외형으로 이들을 동정하는 방법을 살펴보려고 한다. 우선 전형적인 개체들의 외형 특징들을 살펴보고, 이후 중간 특성들을 보이는 개체들을 하나하나 살펴보는 과정들을 통해 봄철 개체들이 가지는 동정 특성들을 찾아내거나 두 종의 경계지점을 파악하는 방식으로 진행해 나가고자 한다.

 

 

노랑눈썹솔새 VS 연노랑눈썹솔새의 외형 특징

노랑눈썹솔새(Phylloscopus inornatus)와 연노랑눈썹솔새 동쪽 아종(Phylloscopus humei mandellii, 우리나라에 주로 도래한다고 여겨지는 아종)을 중심으로 외형 특징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글씨가 작아 잘 보이지 않을 수 있으니 사진을 클릭해서 크게 보시길 권장합니다.

노랑눈썹솔새와 연노랑눈썹솔새 동쪽 아종(mandellii)의 옆모습 비교 ⓒ Larus Seeker

 

노랑눈썹솔새와 연노랑눈썹솔새 동쪽 아종(mandellii)의 머리와 얼굴 비교 ⓒ Larus Seeker

 

노랑눈썹솔새와 연노랑눈썹솔새 동쪽 아종(mandellii)의 덮깃과 날개 비교 ⓒ 국립공원 조류연구센터

 

  노랑눈썹솔새
Phylloscopus inornatus
연노랑눈썹솔새 동쪽 아종
Phylloscopus h. mandellii
 
전체적 인상  몸윗면과 아랫면의 대조가 강함  몸윗면과 아랫면의 대조가 약함
 더 칙칙한 색(녹색 기운이 약하고 회색기운이 많음)
몸 윗면  녹회색이며 머리가 등보다 약간 어두운 색  흐리고 회색 기운이 더 많음
몸 아랫면  흰색이며 옆구리에 노란색 기운  흰색 또는 때묻은 흰색이며 가슴 옆에 회색 기운
머리와 얼굴  녹색기운이 많지만 낡은깃에서는 회색이 증가함  정수리에 녹색 기운이 적고 회색과 갈색 기운이 더 많음
귀깃 주변에 작은 회색 반점
   작은 회색 얼룩이 흩어져 있음
눈썹선  눈앞이 명확하고 앞이마에서 만남
 눈앞은 크리미한 노란색이며 눈 뒤는 흰색에 가까움
 눈 뒤에서 폭이 더 넓어짐
 눈앞은 불명확하고 앞이마에서 만나지 않음
눈앞은 연한 담황색 또는 때묻은 흰색이며 눈 뒤는 흰색
 눈 뒤에서 폭이 좁아짐
부리 끝이 상대적으로 덜 뾰족하고 뭉툭함
아랫부리 기부의 노란색 폭이 넓음
아랫부리의 어두운 부분이 좁아서 밝게 보임
• 두 종 모두 아랫부리 색에 변이가 많음
 끝이 상대적으로 뾰족함
아랫부리 기부의 노란색이 폭이 좁고 제한적
 아랫부리의 어두운 부분이 넓어서 어둡고 검게 보임
날개 모양    짧은 이동거리로 인해 더 둥근날개(둘째날개 일부가 짧음)
윗날개선 폭이 넓진 않지만 길고 보다 명확함 폭이 좁고 모호하며, 길이가 짧음
 닳아서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음
아랫날개선  폭이 넓고 더 명확함
봄에는 노란 기운이 섞인 흰색, 가을에는 크리미한 노란색
폭이 넓고 명확함
봄에는 주로 흰색, 가을에는 크리미한 노란색
큰날개덮깃 축반이 어두워 아랫날개선과 강한 대조를 이룸 축반이 덜 어두워 아랫날개선과 약한 대조를 이룸
둘째날개깃
기부의 반점
 흑갈색 반점
• 반점의 크기: mandellii > inornatus > humei
 커다란 흑갈색 반점
 P. h. humei는 더 연하고 작은 흑갈색 반점
익식  P1(3~7mm) > PC
 P2=6/8, P2깃이 madellii 보다 평균적으로 더 김
 P1(4~8.5mm) > PC
 P2=7/9(매우 드물게 P2=7, 절대로 P2=6/7은 없음
셋째날개깃 테두리 축반이 어둡고 테두리선 폭이 넓어 강한 대조를 이룸
봄에는 깃 테두리가 닳아서 테두리선 폭이 좁아짐
테두리선 폭이 좁아 약한 대조를 이룸
봄에는 테두리선이 약하게 보이거나 보이지 않음
다리  갈색이지만 상대적으로 밝은 느낌(밝은 갈색~암갈색)
 부척 뒤쪽에 분홍 갈색
• 두 종 모두 다리 색에 변이가 많음
암갈색이며 상대적으로 어두운 느낌(회갈색~암갈색)
부척 뒤쪽에 오렌지색 기운
Song  쯔쯔 쯔위이 쯔이이잇~
 매우 가늘고 고음이며 상향
 쯔위릿~ 쯔위리~ 쯔위이이이이이~
 끝부분에 길게 트릴이 나타나며 하향
Call  쯔위잇~
 날카롭고 공격적이며 고음. 끝부분은 상향
 쯔위~
 짧고 빠르고 평탄함. 끝부분은 하향. 자신없는 듯한 약한 소리
번식 고도  낮은 지역의 숲  높은 지역의 숲

 

  연노랑눈썹솔새 동쪽 아종
Phylloscopus h. mandellii
연노랑눈썹솔새 서쪽 아종
Phylloscopus h. humei
 
몸 윗면 • 더 어둡고 더 갈색
• 더 어두운 정수리
• 더 희미한 머리중앙선

회색이 많음
몸 아랫면 노란 기운이 더 많음 • 흰색 또는 때묻은 흰색
눈썹선 • 약한 노란 기운. 더 불명확 • 노란 기운이 거의 없는 흰색
둘째날개깃
기부의 반점
흑갈색 반점
• 반점의 크기가 제일 큼
더 연한 흑갈색 반점
• 반점의 크기가 제일 작음
익식 • P9이 평균적으로 더 짧음
• P9=1/3. 대체로 P9=2
P9=3/4(수컷), P9=2/3(암컷)

 

 

솔새 속의 외부 명칭 [Topography of Leaf Warblers]

노랑눈썹솔새 복합군의 익식을 다루면서 솔새 속의 익식 정보가 대부분 Ascendent numbering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자료 사용의 편의를 위해서 이 글에서는 갈매기 익식에서 주로 사용하던 Descendent numbering 대신 Ascendent numbering을 사용해서 기술하였다.

 

Ascendent numbering

날개 바깥쪽에서 몸 안쪽으로 번호를 매기는 방법. 가장 바깥쪽에 있는 깃이 1번 깃이며 몸 안쪽으로 2번, 3번, 4번으로 번호가 부여됨. 가락지 부착 연구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 

 

Descendent numbering

몸 안쪽에서 날개 바깥쪽으로 번호를 매기는 방법. 둘째날개깃 오른편에 있는 깃이 첫째날개 1번 깃이며 바깥쪽으로 2번, 3번, 4번으로 번호가 부여됨. 첫째날개깃이 몸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깃갈이가 진행되기 때문 깃갈이 형태를 표현할 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 

 

▶ 외부 명칭 1: 옆모습

노랑눈썹솔새의 옆모습 ⓒ Larus Seeker

 

▶ 외부 명칭 2: 뒷모습

노랑눈썹솔새의 뒷모습 ⓒ Larus Seeker

 

▶ 외부 명칭 3: 머리와 얼굴

노랑눈썹솔새의 머리와 얼굴 ⓒ Larus Seeker

 

▶ 외부 명칭 4: 펼친 날개

긴다리솔새사촌의 펼친 날개(Ascendent numbering) ⓒ Larus Seeker

 

▶ 외부 명칭 5: 접은 날개

쇠솔새 추정 개체의 접은 날개(Ascendent numbering) ⓒ Larus Seeker
 
 

연노랑눈썹솔새는 동정 가능할까? <1부> 소리로 동정하기

봄철 이동기가 되면 섬과 육지에서 참 많은 노랑눈썹솔새들을 만나게 된다. 하지만 가을에 깃갈이를 마치고 새깃을 가진 채 이동하는 (비교적 동정이 수월한) 개체들과 달리 봄에 이동하는 개

gulls.tistory.com

 

연노랑눈썹솔새는 동정 가능할까? <3부> 어디까지를 연노랑눈썹솔새로 봐야 하는 걸까?

필드에서 연노랑눈썹솔새(라고 생각하는 개체)를 만났을 때 확신을 가질 수 있을까? 연노랑눈썹솔새의 소리(song이나 call)를 내는 개체를 만나거나 아주 전형적인 외형 특징을 보여주는 개체를 ��

gulls.tistory.com

 

참고문헌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 2009. 휘파람새과 분류 매뉴얼. 국립공원관리공단.

•박종길. 2014. 야생조류 필드가이드. 자연과 생태.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타니구찌 타카시. 2014.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개정증보판. LG상록재단.

•Alström, P. 2006. Species concepts and their application: insights from the genera Seicercus and Phylloscopus. Acta Zoologica Sinica 52: 429-434.

•Baker, K. 1997. Warblers of Europe Asia and North Africa. Christopher Helm, London.

•Irwin, D. E., Alström, P., Olsson, U. and Benowitz-Fredericks, Z. M.2001. Cryptic species in the genus Phylloscopus Old World leaf warblers. Ibis 143: 233-247.

•Madge, S. 1997. Identification of Hume's Warbler. British Birds 90(12): 571-575.

•Svensson, L. (1992) Identification Guide to European Passerines, Fourth edition. Stockholm.

 

이미지 출처

•국립공원 조류연구센터. 2009. 노랑눈썹솔새와 연노랑눈썹솔새 동쪽 아종(mandellii)의 덮깃과 날개 비교.

 

 

 

여러분의 댓글과 공감은 저에게 힘이 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

Flag Counter